반응형
ndb796/python-for-coding-test: [한빛미디어] "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" 전체 소스코드 저장소입니다. (github.com)
이진 탐색
- 순차 탐색 : 맨 앞에서부터 하나씩 확인
-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
- 이진 탐색:
- 정렬된 데이터
- O(logN)
-
파라메트릭 서치
- 최적화 문제 > 결정 문제
-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가장 알맞은 값 찾기
- 범위가 어마어마하게 큰 조건
- 최적화 문제 > 결정 문제
-
떡 썰기
- 필요한 길이보다 크면 시작점 증가
- 필요한 길이보다 크면 끝점 감소
- 중요한 것은 중간점
- 입력이 많으면 sys.stdin.readline()쓰기
- 엔터가 줄 바꿈 기호로 입력되어 제거
- 이진 탐색 문제는 입력이 많거나 탐색 범위가 매우 넓음
- set 자료형
- 특정 자료가 있나 없나 판단에 매우 좋음
# 떡 썰기
# 떡의 개수(N)와 요청한 떡의 길이(M)을 입력
n, m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' ')))
# 각 떡의 개별 높이 정보를 입력
array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# 이진 탐색을 위한 시작점과 끝점 설정
start = 0
end = max(array)
# 이진 탐색 수행 (반복적)
result = 0
while(start <= end):
total = 0
mid = (start + end) // 2
for x in array:
# 잘랐을 때의 떡볶이 양 계산
if x > mid:
total += x - mid
# 떡볶이 양이 부족한 경우 더 많이 자르기 (오른쪽 부분 탐색)
if total < m:
end = mid - 1
# 떡볶이 양이 충분한 경우 덜 자르기 (왼쪽 부분 탐색)
else:
result = mid # 최대한 덜 잘랐을 때가 정답이므로, 여기에서 result에 기록
start = mid + 1
# 정답 출력
print(result)
1. 정렬된 배열에서 특정 수의 개수 구하기
- 바이섹트 라이브러리 활용
from bisect import bisect_left, bisect_right
# 값이 [left_value, right_value]인 데이터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
def count_by_range(array, left_value, right_value):
right_index = bisect_right(array, right_value)
left_index = bisect_left(array, left_value)
return right_index - left_index
n, x = map(int, input().split()) # 데이터의 개수 N, 찾고자 하는 값 x 입력 받기
array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# 전체 데이터 입력 받기
# 값이 [x, x] 범위에 있는 데이터의 개수 계산
count = count_by_range(array, x, x)
# 값이 x인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
if count == 0:
print(-1)
# 값이 x인 원소가 존재한다면
else:
print(count)
- 직접 찾는 함수 만들기
from typing import *
def count_by_value(array: List[int], x):
# 데이터의 갯수
n = len(array)
# X가 처음 등장한 인덱스 계산
a = first(array, x, 0, n - 1)
# 수열에 x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
if a is None:
return 0 # x 0개 0
# x가 마지막으로 등장한 인덱스 계산
b = last(array, x, 0, n - 1)
# 개수를 반환
return b - a + 1
# 처음 위치를 찾는 이진 탐색 메서드
# 작거나 같으면 왼쪽
def first(array, target, start, end):
if start > end:
return None
mid = (start + end) // 2
# 해당 값을 가지고 있는 원소 중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경우에만 인덱스 반환
# 맨 왼쪽이거나, mid 전 인덱스 원소가 target보다 작다 (커져서 target).
if (mid == 0 or target > array[mid - 1]) and array[mid] == target:
return mid
# 중간점의 값 보다 찾는 값이 작거나 같으면 왼쪽을 찾는다.
elif array[mid] >= target:
return first(array, target, start, mid - 1)
# 중간점의 값 보다 찾는 값이 크면 오른쪽을 찾는다.
else:
return first(array, target, mid + 1, end)
# 마지막 위치를 찾는 이진 탐색 메서드
# 크거나 같으면 오른쪽
def last(array, target, start, end):
if start > end:
return None
mid = (start + end) // 2
# 해당 값을 가지고 있는 원소 중에서 가장 오른쪽에 있는 경우에만 인덱스 반환
# 맨 왼쪽이거나, mid 다음 인덱스 원소가 target보다 크다 (오름차순).
if (mid == len(array) - 1 or target < array[mid + 1]) and array[mid] == target:
return mid
# 중간점의 값 보다 찾는 값이 작은경우 왼쪽 확인
elif array[mid] > target:
return last(array, target, start, mid - 1)
# 중간점의 값 보다 찾는 값이 크거나 같으면 오른쪽을 찾는다.
else:
return last(array, target, mid + 1, end)
n, x = map(int, input().split()) # 데이터의 개수 N, 찾고자 하는 값 x 입력 받기
ar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# 전체 데이터 입력 받기
# 값이 x인 데이터의 개수 계산
count = count_by_value(arr, x)
# 값이 x인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
if count == 0:
print(-1)
# 값이 x인 원소가 존재한다면
else:
print(count)
2.고정점 찾기
- 수열의 원소 중 그 값이 인덱스와 동일한 원소
- 이진 탐색은 찾고자 하는 값이
중앙점
과 같다고 두고 수행
# 이진 탐색 소스코드 구현(재귀 함수)
def binary_search(array, start, end):
if start > end:
return None
mid = (start + end) // 2
# 고정점을 찾은 경우 인덱스 반환
if array[mid] == mid:
return mid
# 중간점이 가리키는 값보다 중간점이 작은 경우 왼쪽 확인
elif array[mid] > mid:
return binary_search(array, start, mid - 1)
# 중간점이 가리키는 값보다 중간점이 큰 경우 오른쪽 확인
else:
return binary_search(array, mid + 1, end)
n = int(input())
array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# 이진 탐색(Binary Search) 수행
index = binary_search(array, 0, n - 1)
# 고정점이 없는 경우 -1 출력
if index == None:
print(-1)
# 고정점이 있는 경우 해당 인덱스 출력
else:
print(index)
3. 공유기 설치
- 파라메트릭 서치
- 첫째 집에는 반드시 공유기를 설치한다고 가정하자.
# 집의 개수(N)와 공유기의 개수(C)를 입력 받기
n, c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' ')))
# 전체 집의 좌표 정보를 입력 받기
array = []
for _ in range(n):
array.append(int(input()))
array.sort() # 이진 탐색 수행을 위해 정렬 수행
start = 1 # 가능한 최소 거리(min gap)
end = array[-1] - array[0] # 가능한 최대 거리(max gap)
result = 0
while(start <= end):
mid = (start + end) // 2 # mid는 가장 인접한 두 공유기 사이의 거리(gap)을 의미
# 첫째 집에는 무조건 공유기를 설치한다고 가정
value = array[0]
count = 1
# 현재의 mid 값을 이용해 공유기를 설치하기
for i in range(1, n): # 앞에서부터 차근차근 설치
if array[i] >= value + mid:
value = array[i]
count += 1
if count >= c: # C개 이상의 공유기를 설치할 수 있는 경우, 거리를 증가시키기
start = mid + 1
result = mid # 최적의 결과를 저장
else: # C개 이상의 공유기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, 거리를 감소시키기
end = mid - 1
print(result)
4. 가사 검색
- 각 단어를 길이에 따라서 나눈다.
- 모든 리스트를 정렬한 뒤 각 쿼리에 대해 이진탐색을 수행한다.
- fro??
- 5글자 리스트
- fro로 시작하는 첫 단어
- fro로 시작하는 마지막 단어
- 두 위치 차이 계산
- 접두사 ??
- 뒤집은 배열을 유지한다.
from bisect import bisect_left, bisect_right
# 값이 [left_value, right_value]인 데이터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
def count_by_range(a, left_value, right_value):
right_index = bisect_right(a, right_value)
left_index = bisect_left(a, left_value)
return right_index - left_index
# 모든 단어들을 길이마다 나누어서 저장하기 위한 리스트
array = [[] for _ in range(10001)]
# 모든 단어들을 길이마다 나누어서 뒤집어 저장하기 위한 리스트
reversed_array = [[] for _ in range(10001)]
def solution(words, queries):
answer = []
for word in words: # 모든 단어를 접미사 와일드카드 배열, 접두사 와일드카드 배열에 각각 삽입
array[len(word)].append(word) # 단어를 삽입
reversed_array[len(word)].append(word[::-1]) # 단어를 뒤집어서 삽입
for i in range(10001): # 이진 탐색을 수행하기 위해 각 단어 리스트 정렬 수행
array[i].sort()
reversed_array[i].sort()
for q in queries: # 쿼리를 하나씩 확인하며 처리
if q[0] != '?': # 접미사에 와일드 카드가 붙은 경우
res = count_by_range(array[len(q)], q.replace('?', 'a'), q.replace('?', 'z'))
else: # 접두사에 와일드 카드가 붙은 경우
res = count_by_range(reversed_array[len(q)], q[::-1].replace('?', 'a'), q[::-1].replace('?', 'z'))
# 검색된 단어의 개수를 저장
answer.append(res)
return answer
반응형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업 코딩테스트 준비 7 : 최단 경로 (0) | 2021.02.14 |
---|---|
대기업 코딩테스트 준비 6 :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(0) | 2021.02.14 |
대기업 코딩테스트 준비 5 : 정렬 (0) | 2021.02.14 |
대기업 코딩테스트 준비 3 : 구현 (0) | 2021.02.13 |
대기업 코딩테스트 준비 2 : 그리디 (0) | 2021.0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