위 문서의 내용을 약간 보충합니다.
Injective
- 모든 공역과 치역의 원소가 1대1
- 공역과 치역이 꼭 같을 필요는 없음 (1대1 함수)
Surjective
공역과 치역이 같음 (codomain === range)
상(Image)은 공역의 subset이다, 함수는 정의역을 공역의 일부값으로 매핑한다.
두 조건을 만족하면 Bijective(1대1 대응)임.
위 개념을 카테고리 이론으로
카테고리 이론에서 함수에 대해 이야기 하려면,
정의역과 치역을 구성하는 객체를 들여다 보지 말아야 합니다.
Epimorphism === Surjective (공역 === 치역)
합성할 함수가 먼저 실행되어 정의역을 제한합니다.
b->c인 함수는 정의역과 치역이 다를 수 있는데
a->b 함수인 f와의 합성 결과가 같으면 g1=g2라는 것입니다.
(합성함수의 정의역은 f의 치역으로 같아집니다.)
즉, g1 o f = g2 o f
Monomorphism === Injective (1대1 함수)
이번에는 함수가 뒤에 옵니다.
명제의 대우를 취해보면 좀 이해가 더 잘되는것 같은데요
g1과 g2가 다르면 합셩 결과도 같지 않다는 것입니다.
한줄 요약하면 f실행 후 1대1 함수가 되면 해당 모피즘은 Monomorphism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.
집합 이론에서 injective하고 subjective한 함수는 isomorphism 하다
Monomorphism & Epimorphism => Isomorphism? NO
객체2개와 모피즘 3개가 있는 카테고리가 있을때,
같은 카테고리 내에서 객체를 매핑하는 경우는 monic, epic할 수 있지만, iso하지 않다고 합니다.
카테고라에 중복의 개념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고, 만약 집합의 카테고리라면 iso하다 볼 수 잏 수 있습니다.
https://math.stackexchange.com/questions/266886/epimorphism-and-monomorphism-isomorphism
참고
https://www.mathsisfun.com/sets/injective-surjective-bijective.html
Category Theory 2.1: Functions, epimorphisms
Category Theory 2.2: Monomorphisms, simple typ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