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
- 네트워크의 구성
- 컴퓨터의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
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비는 랜카드다.
스위치와 라우터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
- 스위치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
- 라우터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
- 역캡슐화 시는 목적지를 확인한다
- 캡슐화 시는 IP 헤더는 출발지를 바꾸고, 이더넷 헤더는 출발지를 자기 MAC주소로, 목적지를 목적지 MAC 주소로 바꾼다.
라우터는 허브, 스위치. 리피터 역할을 다 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네트워크의 기기(2계층)을 찾아갈 수 있음
- 위 흐름 다시 정리하기
- 스위치는 MAC 주소만 보고 목적지 장비로 패킷 변경 없이 전달만 한다.
- 라우터에서는 캡슐화와 역캡슐화가 일어난다
- 역캡슐화 : 목적지만을 확인한다
- 캡슐화 : 출발지 IP주소를 자기 자신으로 바꾼다, 출발지 MAC과 목적지 MAC을 바꾼다.
웹 서버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
무선 랜의 구조
- 무선 랜의 장점
- 선이 없어도 됨
- 단점
- 보안이 약함
- 암호화와 인증 필요
- 속도와 연결이 불안정
- 보안이 약함
- 무선 엑세스 포인터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것
- 무선 랜 칩(요즘 PC 다있음)
- 무선 랩 어댑터
- USB 방식
- 컴퓨터 카드 방식
- 공유기에 무선 엑세스 포인트 기능이 있음
인프라스트럭처 방식과 애드훅 방식(무선 랜 토폴로지)
- 인프라스트럭처 방식
- 무선 엑세스 포인트 통해 통신
- 공유기는 라우터
- 주로 쓰임
- Ad Hoc 방식
- 클라이언트들 끼리 직접 통신
무선 랜 규격
- 무선 랜은 IEEE802.11 규격을 준수
- 미국 기술 표준화 단체인 IEEE에서 승인한 무선 랜 표준화 기술
- 공유기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도 지원해야 함을 주의
- 현재는 11n 또는 11ac 주로 사용
- 무선 엑세스 포인트를 무선 공유기 또는 무선 AP라 부르기도 한다
SSID의 구조
- 무선 랜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가 통신함
- SSID(Service Set IDentifier)라는 엑세스 포인트 고유 이름 필요
- 네트워크 이름, 인증, 암호화, 암호화 키 4가지를 설정해야 함
- 무선 클라이언트가 자동으로 무선 엑세스 포인트를 찾아 통신 가능
- SSID(Service Set IDentifier)라는 엑세스 포인트 고유 이름 필요
- 무선 엑세스 포인트는 beacon(비컨)이라 하는 자기를 알리는 신호를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기기에 주기적으로 전송
- 무선 랜에는 여러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며, 그 분할된 주파수 대역을 채널이라 한다
- 무선 공유기 A와 공유기 통신 컴퓨터는 같은 채널을 설정해야 한다. (같은 주파수 대역 사용)
- 무선 공유기 B와 통신을 원하면 다른 채널을 사용해야 한다 (다른 네트워크)
-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여러대일 때 채널 설정 시 전파가 겹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.
- 무선 엑세스 포인트는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설정되어 알아서 최적의 채널을 찾아줌
- 수동으로 변경해보는 것도 불안정한 연결 해결 방법일 수 있음
- 무선 공유기 설정은 브라우저로 확인 가능
반응형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 사이즈 배열의 가장 큰 합 구하기 (0) | 2022.02.03 |
---|---|
Sliding Window 패턴 개요 (0) | 2022.02.03 |
네트워크 면접 정리 With 모두의 네트워크. 7장 응용 계층 :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(0) | 2021.10.03 |
네트워크 면접 정리 With 모두의 네트워크. 6장 전송 계층 :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(0) | 2021.10.03 |
네트워크 면접 정리 With 모두의 네트워크. 5장 네트워크 계층 :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(0) | 2021.10.03 |